2018년 7월 31일부터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이 운영 중에 있습니다. 최대 연 3.3%금리에 이자소득 비과세 및 소득공제 혜택까지 있기 때문에 청년분들은 가입하는 것이 매우 유리합니다.
예금을 통해서 청년층이 안정적으로 목돈 마련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청년층의 주택구입 및 전월세 마련을 돕고자 기존 청약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우대금리와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으로 주거안정 및 목돈 마련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이 신설이 되었습니다. 오늘은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의 가입조건, 가입혜택 그리고 가입 가능한 은행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가입조건 및 가입기간은 어떻게 되나요?
가입대상은 만 19세 이상에서 29세 이하로 연 3천만원 이하의 소득이 있는 무주택세대주입니다. 근로소득자 뿐만 아니라 사업소득, 기타소득이 있는 자도 가입을 할 수가 있으며 프리랜서 및 학습지 교사 등도 가입을 할 수가 있습니다. 나중에 연봉이 3천만원을 초과해도 상관없습니다. 가입당시 연봉이 3천만원 이하이면 됩니다.
가입은 2018년 7월 3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일몰제를 적용하여 시행을 합니다. 일몰제란 법률이나 각종 규제의 효력이 일정 기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없어지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그러니 꼭 기한 내에 신청을 하여야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병역증명서에 의한 병형 이행기간이 증명되는 경우에는 현재 연령에서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을 빼고 계산한 연령이 만 29세 이하인 사람이 포함됩니다. 또한 소득부분은 1년 미만으로 직전연도 신고소득이 없는 경우 근로소득자에 한해 급여 명세표 등으로 연소득을 환산합니다.
그리고, 기존 주택청약종합저축을 가입하였더라도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의 자격요건에 해당이 되면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으로 전환이 가능합니다.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으로의 전환, 가입하는 경우 기존 주택청약종합저축의 납입기간, 납입금액은 그대로 인정이 됩니다. 다만, 전환, 가입으로 인한 전환원금은 우대금리 적용에서 제외가 됩니다.
2.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혜택은 무엇인가요?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은 가장 큰 혜택은 우대금리와 이자소득 비과세입니다.
1. 우대금리
▷ 가입기간 2년 이상 시 총 납입원금 5천만원 한도로 최대 10년까지 최대 3.3%의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납입방식은 현재 주택청약종합저축과 동일하게 1,500만원까지 자유롭게 납입 후, 연간 600만원(월 2만원∼50만원) 한도로 납입하면 됩니다.
▷ 가입기간 2년 미만이라도 청약 당첨 등으로 불가피하게 해지하는 경우에도 우대금리를 적용 받을 수 있습니다.
▷ 1년 미만인 경우 2.5%, 2년 미만인 겨우 3.0%, 2년 이상 3.3%, 10년 초과시부터는 1.8%의 이자가 적용이 됩니다.
2. 이자소득 비과세
▷ 가입기간이 2년 이상 시 이자소득의 5백만원까지 비과세입니다.
3. 기타 혜택
▷ 청약기능은 물론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가입자가 현재 조세특례제한법의 소득공제 요건을 충족하면 연간 납입한도의 240만 원 범위에서 40%의 소득공제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소득 7000만 원 이하 무주택세대주로 무주택확인서를 제출하는 경우 연간 납입액 240만 원 한도로 40%까지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
3. 기존 주택청약종합저축과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주택청약종합저축과의 차이는 일정요건을 충족해야하는 가입자격과 연 3.3%까지 우대금리와 이자소득 5백만원까지 비과세 등의 혜택입니다.
1. 주택청약종합저축
▷ (가입자격) 누구나 가입가능
▷ (금리) 연 최대 1.8%
▷ (비과세) 없음 - 이자소득세 14% 부과
▷ (소득공제) 연간 240만원 범위에서 40% 공제
2.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 (가입자격) 만19세 이상~29세 이하, 연 3천만원 이하소득, 무주택자
▷ (금리) 원금 5천만원까지 연 최대 3.38%
▷ (비과세) 이자소득 5백만원까지 비과세
▷ (소득공제) 연간 240만원 범위에서 40% 공제(기존 주택청약종합저축과 동일)
4. 어디에서 가입을 하나요?
9개 주택도시금 수탁은행에서 가입이 가능합니다. 현재 은행별로 혜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은행별로 잘 살펴보시고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온라인으로는 신청이 불가합니다. 직접 방문하여 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 우리은행 (https://www.wooribank.com)
▼ KB국민은행 (https://www.kbstar.com)
▼ IBK기업은행 (https://www.ibk.co.kr)
▼ NH Bank (https://banking.nonghyup.com)
▼ 신한은행 (https://www.shinhan.com)
▼ KEB하나은행 (https://www.kebhana.com)
▼ DGB대구은행 (https://www.dgb.co.kr)
▼ BNK부산은행 (https://www.busanbank.co.kr)
▼ BNK경남은행 (https://www.knbank.co.kr)
이 글의 단축 URL 입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등으로 공유해보세요.
https://0muwon.com/1148
공감클릭